차범근 축구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범근 축구상은 1988년 제정되어 매년 대한민국의 초등학교 축구 유망주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1988년부터 2015년까지 매년 시상했으며, 이후 2016년부터는 대상, 베스트 일레븐, 최우수 여자선수상, 최우수 감독상을 시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차범근 축구상 |
---|
2. 역사
1988년 12월, 일간스포츠와 소년한국일보가 차범근 축구상을 제정하였다.[1] 2010년부터 대한축구협회가 지원하면서 장학금이 증액되고, 시상식 장소가 대한축구협회 축구회관으로 변경되었다.[1] 2017년부터 카카오가 주관하고 대한축구협회, 아디다스, 코카콜라가 후원하며, 일간스포츠가 공동 제정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2]
2. 1. 상의 변천과 확대
1988년 12월부터 일간스포츠와 소년한국일보 주최로 매년 대한민국 초등학교 축구 선수 중 뛰어난 활약을 보인 선수에게 시상하기 시작했다. 2010년부터는 대한축구협회의 지원으로 장학금이 두 배로 늘었고, 시상식도 대한축구협회 축구회관 1층 로비에서 열리게 되었다.[1]2017년 제29회 시상부터는 카카오가 주관하고 대한축구협회, 아디다스, 코카콜라가 후원하며, 일간스포츠가 공동 제정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수상 규모를 대폭 확대하여, 이전까지 공격수 위주로 시상하던 관행에서 벗어나 베스트 11 형식으로 개편하여 다양한 포지션의 선수들에게 수상 기회를 제공하였다. 2000년부터 우수상 또는 장려상에 포함되었던 여자 부문은 최우수여자선수상을 신설하여 여자 축구 유망주 발굴에도 힘쓰고 있다. 대상과 최우수감독상에는 상패와 200만원의 장학금이, 베스트 11 선수와 최우수여자선수상에는 상패와 100만원의 장학금이 수여된다. 또한 모든 수상자에게는 아디다스 축구용품이 지급된다.[2]
3. 시상 부문 및 선정 방식
1988년 12월 일간스포츠, 소년한국일보가 참여하여 시작되었다.[1] 대한민국의 초등학교 축구선수 중 한 해 동안 훌륭한 활약을 한 선수에게 시상하고 있다.[1] 2010년부터 대한축구협회의 지원으로 장학금이 두 배로 증가하였고, 시상식도 대한축구협회 축구회관 1층 로비에서 열리게 되었다.[1]
2017년 29회 시상부터는 카카오가 주관하고 대한축구협회, 아디다스, 코카콜라가 후원하며 일간스포츠가 공동 제정하였다.[2] 수상 규모를 대폭 늘리고, 공격 선수에게 집중 수여하던 과거와 달리 베스트11 방식으로 개편해 다양성을 확보하였다.[2] 2000년부터 우수상이나 장려상에 포함하던 여자부문은 최우수여자선수상을 신설하였다.[2] 최우수감독상에는 상패와 장학금 200만원이 수여된다.[2]
3. 1. 시상 내역
1988년부터 매년 대한민국 초등학교 축구선수 중 뛰어난 활약을 보인 선수들에게 시상하고 있다. 2017년 29회 시상부터는 시상 규모가 확대되고, 베스트11 방식으로 개편되어 다양한 포지션의 선수들이 수상하게 되었다. 또한, 최우수여자선수상이 신설되었다.[2]
4. 역대 수상자
차범근 축구상은 1988년부터 초등 축구 유망주를 발굴하고 격려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초창기에는 대상, 우수상, 장려상, 지도자상 부문으로 시상했다. 29회부터는 베스트 일레븐, 최우수 여자선수상, 최우수 감독상이 추가되었고, 30회부터는 베스트 일레븐 대신 세븐 일레븐, 최우수 여자선수상, 최우수 감독상으로 시상하고 있다.
역대 수상자 중에는 이동국, 박지성과 같이 국가대표로 성장한 선수들도 있다.
4. 1. 1회~28회 (1988~2015)
회차 | 연도 | 대상 | 우수상 | 장려상 | 지도자상 |
---|---|---|---|---|---|
1회 | 1988 | 서원광 | 손명길, 이용우 | 박성이, 이동욱, 송정선 | ?? |
2회 | 1989 | 이범수 | 김범준, 박중원 | 김병국, 정석근, 허제정 | ?? |
3회 | 1990 | 전윤승[3] | 한하석[3] ·강남길[3] | ??, ??, ?? | ?? |
4회 | 1991 | 김승현[4] | 박현, 민경인 | 이충원, 정대현, 이동국[22] | ?? |
5회 | 1992 | 이판희 | 이영민, 이영훈 | 황대웅, 양상조, 박지성[22] | ?? |
6회 | 1993 | 최태욱[5] | 박민영[5], 구민수[5] | 김병채, 김대현, 백금실 | 조성희[5] |
7회 | 1994 | 김두현[6] | ??·?? | ??, ??, ?? | ?? |
8회 | 1995 | 신현준[7] | 조성환, 노지영 | 전승현, 예호성, 정원철 | 강한상 |
9회 | 1996 | ?? | ??, ?? | ??, ??, ?? | ?? |
10회 | 1997 | 하대성[8] | 정주석[8], 윤찬구[8] | ??, ??, ?? | ?? |
11회 | 1998 | 조용태[9] | 최우석[9], 송순보[9] | 하용수[9], 한상규[9], 조동건[9] | 정한윤 |
12회 | 1999 | 이상호[1] | 조수혁, 이광빈 | 강성주, 김수영, 박태웅 | ?? |
13회 | 2000 | 기성용[10] | 한상훈[10], 방수호[10] | 강효일[10], 배해민[10], 김가영[10] | 정한균[10] |
14회 | 2001 | 정원식[11] | 서정진[11], 김명호[11] | 이재일[11], 이한샘[11], 김희정[11] | 정상훈[11] |
15회 | 2002 | 손세웅[12] | 정현준[12], 구자용[12] | 이희성[12], 진용[12], 정지수[12] | 이성환 |
16회 | 2003 | 정찬일[13] | 김영남[13], 전수민[13] | 박태윤[13], 최성민[13], 이호석[13] | 박승석[13] |
17회 | 2004 | 이종호[14] | 나승국[14], 이동녘[14] | 전현욱[14], 유승훈[14], 최민정[14] | 강성추[14] |
18회 | 2005 | 김의도[15] | 엄윤수[15], 김경순[15] | 문창진[15], 손민수[15], 김민규[15] | 배실용[15] |
19회 | 2006 | 명준재[16] | 박정빈[16], 채선일[16] | 김민수[16], 이예찬[16], 이유리[16] | 김정혁[16] |
20회 | 2007 | 서명원[17] | 이동건[17], 박소영[17] | 안승온[17], 윤현오[17], 이재민[17] | 유재호[17] |
21회 | 2008 | 황희찬[18] | 조윤창[18], 이호진[18] | 서정덕[18], 민경완[18], 장창[18] | 김상석[18] |
22회 | 2009 | 백승호[19] | 권승철[19], 송지윤[19] | 장성준[19], 한찬희[19], 최석진[19] | 이정석[19] |
23회 | 2010 | 이승재[20] | 이승우[20], 육근혁[20] | 김종훈[20], 강상희[20], 강채림[20] | 강경수[20] |
24회 | 2011 | 홍현석[21] | 안준혁[21], 이상수[21] | 김시현[21], 김규형[21], 전민영[21] | 이정호[21] |
25회 | 2012 | 이상재[22] | 강현우[22], 이준석[22] | 김민혁[22], 동창혁[22], 한송희[22] | 함상헌[22] |
26회 | 2013 | 이신형 | 김상준[23], 민동환[23] | 이재광[23], 송주민[23], 황아현[23] | 강상기[23] |
27회 | 2014 | 홍윤상[24] | 김민우[24], 정상빈[24] | 김어진[24], 주재현[24], 임수연[24] | 백기태[24] |
28회 | 2015 | 서재민[25] | 김종원[25], 최환[25] | 홍지우[25], 김효기[25], 전유미[25] | 김대호[25] |
4. 2. 29회 (2016)
회차 | 연도 | 대상 | 베스트 일레븐 | 최우수 여자선수상 | 최우수 감독상 | ||||
---|---|---|---|---|---|---|---|---|---|
공격수 | 미드필더 | 수비수 | 골키퍼 | ||||||
29회 | 2016 | 전유상 | 허동민 | 김지원, 송한록, 송호, 이은규 | 강현준, 송준휘, 이동현, 장남웅 | 이민재 | 박수정 | 박진희 | [26] |
4. 3. 30회~ (2017~)
여자선수상감독상